추운 날씨가 건강에 좋은 놀라운 이유
몸속 칼로리 태우고 다쳤을 때 염증 완화
요즘같이 추운 날씨가 계속될 때면 일어나자마자 다시 이불 속으로 기어들어가는 게 당연하다. 날씨가 너무 추우면 동상이나 우울증에 걸릴 수도 있고 심장마비가 올 수도 있다. 그러나 맹추위도 계절로 있는 한 우리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미국 인터넷 매체 허핑턴포스트는 23일 추운 날씨가 건강에 좋은 이유를 소개했다.
◆ 칼로리를 태운다
‘갈색 지방’에 대해 들었을 것이다. 우리 몸에 있는 자연 지방으로 다른 ‘흰색 지방’을 태운다. 2012년 연구에서 추운 날씨는 갈색 지방을 작동하게 함으로써 그냥 춥게 있기만 해도 상당한 칼로리를 태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운동도 비슷한 효과를 낳는다고 뉴욕 타임스가 보도했다).
◆ 우리를 가깝게 한다
날씨가 추운 아침에는 이불 속에 안전하게 있으려고 한다. 그러나 날씨 탓에 혼자 오래 떨어져 있다 보면 가까운 친구들이나 가족에게 전화를 하게 되고 보통 때보다 더 길게 전화 수다를 떨게 된다고 2012년 한 연구는 밝혔다.
◆ 병균을 박멸한다
2011~2012년 겨울이 따뜻했던 관계로 2012년 여름에는 모기가 엄청나게 많았다. 해충들은 날씨가 온화하면 번성하게 마련이다. 날씨가 영하 이하로 내려가는 맹추위가 계속되면 모기나 진드기 같은 것들이 죽게 되어 질병을 퍼뜨리지 못한다.
◆ 햇빛에 더욱 감사한다
온화한 날씨가 몇 주일이나 계속되면 상당히 좋을 것 같지만, 반드시 행복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연구가 있다. 실제로 일부 연구에 따르면 날씨가 전혀 바뀌지 않고 항상 따뜻하면 태양을 당연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추위로 떨어봐야 따뜻한 봄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알게 된다고 사이콜로지 투데이가 보도했다.
◆ 염증을 줄여준다
다쳤을 때 얼음찜질이 효과가 있다. 발목을 삐거나 발톱을 찧었을 때 온도를 떨어뜨려 염증을 막는다. 따라서 맹추위가 계속되면 염증과 통증을 줄여준다고 한다. 실제로 2011년 연구에 따르면 극도로 낮은 온도에서 행하는 저온요법은 육상선수들의 육체활동의 피로 회복에 더 많은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영하 110도에 노출된 달리기 선수들의 경우 다른 처치를 받은 선수들보다 더 빨리 회복되었다고 애틀랜틱이 보도했다.
◆ 몸을 만들 수 있다
추운 날씨에는 여름과 달리 비키니 차림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다. 새해 계획으로 세우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으면서 피트니스에 열중할 수 있는 최고의 시간이다.
기억력 좋아지는 5가지 식품
블랙베리·시금치·초콜릿·사과·달걀
나이가 들면서 기억력은 점차 쇠퇴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뇌에 도움되는 식품을 자주 먹으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미국방송 폭스뉴스는 18일 이 같은 식품 5가지를 소개했다.
◆블랙베리(검은나무딸기)
항산화제인 폴리페놀이 들어있다. 노화에 따른 기억력 손상을 막아주는 성분이다. 폴리페놀은 염증을 줄여줌으로써 뇌가 젊은 시절과 비슷하게 작동하게 해준다. 블랙베리는 요구르트나 스무디에 섞거나 단독 간식으로 먹어도 좋다. 비타민과 미네랄, 섬유질도 들어있어서 더욱 좋다.
◆시금치
하루 3차례 1인분씩 먹으면 뇌가 예리하게 돌아가고 몸매도 날씬해진다. 기억력을 좋게 하는 미네랄인 엽산, 인지능력 저하를 막아주는 비타민 E와 K가 듬뿍 들어있다. 이외에 브로콜리, 방울양배추, 양배추, 주황색이나 녹색 채소도 기억력을 향상시켜준다.
◆초콜릿
초콜릿의 장점은 계속 추가되고 있다.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기억력에도 좋다. 강력한 항산화제가 들어있어서 뇌에 피가 잘 흐르게 해준다. 그러면 뇌는 최고 수준으로 작동할 수 있다. 카페인도 들어있어서 각성도를 높여준다. 10g만 먹으면 이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사과
매일 한 알 먹으면 머리가 맑아진다. 항산화제인 케르세틴은 뇌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뇌의 염증은 장기적으로 인지능력을 떨어뜨린다. 케르세틴은 껍질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버리면 안 된다. 오후에 간식으로 사과를 하나 먹으면 집중력과 각성이 좋아진다. 섬유질은 포만감을 제공한다.
◆달걀
노른자에 들어있는 콜린은 체내에서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으로 바뀐다. 아세틸콜린은 기억력을 향상시키며 알츠하이머 위험을 줄여준다. 콜린은 주의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시험 성적도 높여준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많다.
쌀밥과 잡곡밥, 뭐가 운동선수에 좋을까?
지구력 향상 혼합곡 ‘파워米’ 선보여
기름이 좔좔 흐르는 쌀밥과 잡곡밥 가운데 어느 것이 운동선수에게 좋을까? 황금비율에 따라 섞은 잡곡밥이 운동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결과에 따라 스포츠 선수나 마라톤애호가 등의 운동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려주는 ‘스포츠용 곡식’이 상품으로 나왔다. 전북대 총장 출신의 의학박사와 국내 식품공학의 대가가 정부 연구과제로 함께 개발해 논문을 통해 농업, 식품, 의학계에 널리 알려졌던 곡식이 이번에 상품화에 성공한 것. 상품명은 힘을 길러준다는 뜻에서 ‘파워미(米)’다.
두재균 전 전북대 총장과 신동화 한국식품안전협회 회장은 19일 “농림수산식품부의 연구과제로 개발해 동물실험을 통해 운동능력 향상을 입증한 ‘파워미’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두재균 박사는 48세에 최연소 국립대 총장의 기록을 세우며 전북대 총장에 취임한 입지전적 인물로 낭종수술용 두씨흡수관, 두씨탯줄가위, 두씨색시수술법, 위내시경용 마우스피스 등을 개발한 ‘의사 발명가’로도 유명하다. 전북대 총장 재직 때 전주국제발효식품엑스포를 기획, 개최하는 등 식품 산업화에도 관심을 쏟아왔다. 신동화 회장은 전북대 식품공학과 명예교수이자 식품공학 박사로 ‘순창고추장’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는 등 중소기업을 돕는 ‘엔젤 연구가’로 이름이 나있다.
두재균 박사는 “파워미 개발을 위해 기존 곡식의 영양성분을 철저히 분석하고 이를 적절히 배합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면서 “과학적 효능, 효과에 초점을 맞춘 개발품”이라고 말했다.
이들 연구진은 2008~2010년 농림수산식품부의 ‘고부가 가치 농축산물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 혼합곡을 개발했다. 수십 가지 곡물 가운데 연화현미, 찰보리, 찰현미, 흑미, 백태, 땅콩 등에 지구력 향상에 필요한 성분이 풍부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들 성분의 적절한 배합비율을 찾았다. 영양 뿐 아니라 겉모양, 냄새, 색깔, 차진 정도, 맛과 씹히는 정도가 최상이 되도록 배합비와 가공방법을 조절했다.
이렇게 개발된 혼합곡은 2011년 전북대병원 기능성식품 임상시험 지원센터의 동물실험 결과 조직 내의 글리코겐 저장량과 간 기능을 증가시켜 운동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2011년 11월 학술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에 발표됐다. 쥐에게 일반 쥐 사료 20%와 백미 및 혼합곡을 4주간 먹인 후 탈진 때까지 운동시간을 측정한 결과 혼합곡을 먹은 쥐는 백미를 먹은 쥐에 비해 운동시간이 30%이상 연장되고 3주차부터 체중이 감소한 사실이 관찰됐다. 혼합곡은 살찔 염려 없이 먹을 수 있는 영양식임이 입증된 것이다.
‘파워미’는 혼합잡곡 전문회사 ‘푸르메’가 잡곡 혼합 공정의 자동화에 성공한 데 이어 잡곡의 맛을 내기 위한 압착기술 등에서 진전을 이뤄내면서 대량생산에 성공했다. 이 혼합곡은 기존 잡곡밥에 비해 맛이 좋고 상품 그대로 밥을 하기 때문에 조리가 편리하다는 게 장점이다.
두재균 박사는 “파워미는 운동을 하거나 일할 때 지구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부 금실, 자녀 건강에도 좋다”면서 “다양한 관련 상품을 준비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으로 수출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워미’ 판매수익의 2%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돕기 위해 기부된다.
올리브유만큼 몸에 좋은 기름은?
포도씨유·호두유·코코넛유·아보카도유
올리브유가 몸에 좋은 지방과 항산화제를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요리할 때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올리브유만큼 몸에 좋은 다른 기름도 있다. 최근 미국 건강생활잡지 프리벤션은 건강에 도움이 되는 각종 기름을 소개했다.
◆ 포도씨유
깔끔하고 가볍고 덤덤한 맛으로 어떤 요리에나 쓸 수 있다. 250도까지 높은 열에 견딜 수 있다. 실내온도 21도 이하에서 석 달, 냉장고에서는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다.
·좋은 점= 우리 식단에서 부족하기 쉬운 항산화제인 비타민E가 풍부하다.
◆ 호두유
샐러드 드레싱이나 요리를 준비한 뒤 그 위에 뿌리는 용도로 쓰면 된다. 반드시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
·좋은 점= 호두유에는 식물성 오메가3 지방산이 들어 있으므로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 코코넛유
170도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요리해야 하며, 채식주의자들에게는 버터 대용품이 될 수 있다. 실내에서는 딱딱하지만 열을 가하면 액체가 된다.
·좋은 점= 코코넛유는 90%가 포화지방산이나 식물성인 까닭에 몸에서 불포화 기름처럼 대사작용을 한다.
◆ 아보카도 정제유
요리의 다른 성분이 내는 효과를 살리고 싶다면 아주 좋은 선택이 된다. 부드럽고 견과류 맛이 나며 고온에서 요리할 수 있으므로 볶거나 굽는 등 다양하게 쓸 수 있다.
·좋은 점= 올리브유처럼 단일불포화지방산으로 나쁜 콜레스테롤(LDL)을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HDL)을 늘게 한다.
◆참기름
국수나 그린샐러드의 비네그래트 드레싱으로 훌륭하다. 그러나 열을 가하면 약간 쓴 맛이 날 수 있다.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좋은 점= 전문가에 따르면 참깨는 볶는 동안 항산화제를 만들어 낸다고 한다.
날씨가 우리 몸에 일으키는 변화 5가지
말이 많아지고, 혈압 상승하고…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자연히 몸이 움츠러든다. 그런데 실은 계절이 바뀌고 기온이 변화하면 우리 몸에는 생각보다 많은 변화가 생긴다. 인터넷 건강정보 사이트인 프리벤션닷컴이 지난 16일 소개한 ‘날씨로 인한 우리 몸의 변화 5가지’다.
1.가을이 되면 말이 많아진다=가을밤이 길어질수록, 날씨가 안 좋을수록 사람들은 더 수다스러워진다는 연구결과가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저널인 ‘플로스원(PLOSOne)’에 실렸다. 뉴캐슬 대학 연구팀이 포르투갈의 핸드폰 사용자 130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춥고 습기가 많은 날처럼 날씨가 좋지 않은 날이면 통화 상대는 줄어든 대신 통화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날씨가 안 좋으면 여러 사람을 찾기보다는 가까운 친구나 가족을 찾는다는 것이다.
2.가을에는 섹스를 하고 싶어진다=가을은 섹스의 계절이다. 나뭇잎의 색깔이 바뀌기 시작하면 우리 몸은 울적해지고, 뇌에서는 행복 호르몬인 도파민을 더 분비할 만한 일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3.기온이 낮아지면 혈압이 상승한다=기온이 낮아지면 몸속의 열을 보호하기 위해 혈관이 수축되며 이로 인해 혈압이 상승한다. 고혈압을 앓고 있다면 이는 조심해야 할 상황이다. 연구에 따르면 겨울철에는 심근경색이 53% 늘어난다. 기온이 떨어지면 혈압을 낮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4.추워지면 몸이 건조해진다=날씨가 추워지면 물을 더 멀리하게 되지만 사실은 더 물을 마셔야 한다. 우리 몸은 사실은 추운 계절에 더 수분이 빠져 나가기 때문이다.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항상 물병을 들고 다니는 습관이 필요하다.
5.날씨가 궂으면 기억력이 좋아진다=우리의 두뇌는 날씨가 나쁠 때 더 예리해진다는 것을 호주 사우스웨일즈 대학 연구팀이 밝혀낸 바 있다. 야채 가게에서 손님들에게 흔하지 않은 10개의 상품들을 제시하고 나중에 이를 기억케 하는 실험을 했는데, 구름이 끼고 비가 온 날씨에 실험을 한 이들이 화창한 날에 구매한 이들보다 더 잘 기억해냈다.
머리 좋아지는 잡곡밥, 황금비율 알고보니...
어린이용-당뇨병 환자용 혼합곡 개발
‘웰빙 시대’를 맞아 잡곡밥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머리가 좋아지는 잡곡밥을 만드는 황금비율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2일 오후 MBC TV ‘파워매거진’에서는 잡곡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황금비율’을 맞춘 잡곡밥이 소개돼 관심을 모았다.
방송은 “뮤지컬 배우 옥주현, 다산의 여왕 개그우먼 김지선도 잡곡밥에 푹 빠져 있다”면서 “웰빙 바람을 타고 각광받는 잡곡밥이 유명 스타들의 날씬하고 건강한 몸매 유지비법으로 알려지면서 ‘혼합곡 열풍’이 식을 줄 모르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혼합곡의 비율에 따라 뇌 기능을 활발하게 하거나 당뇨병 호전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는 놀라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면서 "두재균 의학박사와 신동화 한국식품안전협회 회장이 공동 개발한 ‘기능성 혼합곡’이 그 주인공"이라고 소개했다.
방송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농식품부의 ‘고부가가치 농축산물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한 이 혼합곡은 수십 가지 곡물 중에서도 두뇌 인지능력 향상에 좋은 쌀, 발아현미, 발아찰현미, 흑미, 강낭콩, 호두 등을 골라 기능별 황금비율을 맞췄다"고 했다.
영양뿐 아니라 겉모양, 냄새, 색깔, 차진 정도, 맛과 씹히는 정도까지 최상이 되도록 배합비율과 가공방법을 개발해 냈는데, 실제로 2010년 전북대 의대 정영철 교수팀이 전북대 사대부고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결과, 이 혼합곡을 먹은 학생들이 백미를 먹은 학생들에 비해 스트레스 처리와 인지기능에 효과를 나타내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는 것이다.
전 전북대 총장인 두재균 의학박사는 이날 방송에서 “인지능력이 좋아지는 기능과 맛, 여기에 건강이라는 세가지 요소를 잡기 위해서는 황금비율로 잡곡을 섞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각 기능에 따라 들어가는 곡물과 비율이 달라야 한다”고 말했다.
두재균 박사에 따르면 혈당관리가 중요한 당뇨병에는 ‘연화현미’, ‘찰보리쌀’, ‘강낭콩’, ‘찰현미’, ‘흑미’ 등이 들어가는 것이 좋으며, 인지능력 상승을 위해서는 ‘쌀’, ‘발아현미’, ‘발아찰현미’, ‘강낭콩’, ‘흑미’, ‘호두’ 등의 곡물이 포함된 것이 좋다는 것.
이 중 인지능력이 좋아지는 혼합곡은 이미 2010년에 특허등록을 마쳤다. 혼합곡 안에 포함된 ‘가바’라는 성분이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집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투입량과 투입속도가 정확하게 계산된 혼합곡은 식감이 부드럽고, 소비자들이 별도로 곡물의 배합비율을 계산하지 않아 편리하다고 방송에서 언급됐다.
현재 시중에서는 상품명 ‘열공’인 혼합곡이 이 황금비율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 혼합곡은 두재균 박사와 신동화 회장이 공동 개발해 특허를 냈다. 건강식품 전문사이트 힐샵(www.healshop.co.kr)에서 판매하고 있는 '열공'은 뇌의 인지기능을 높이는 성분이 풍부한 혼합곡식으로 유명세를 타면서 수험생뿐 아니라 어린이를 키우는 가정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건강생활------ >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생활 방해하는 주범믄 '성기능 저하' 등 (0) | 2013.02.05 |
---|---|
전립선 비대증 (0) | 2013.02.03 |
노인성 난청 (0) | 2013.02.02 |
전립선 암, 새 방사선 치료로 수술 효과 (0) | 2013.01.28 |
인공관절 수술 (0) | 2013.01.28 |